☁️ Naver Cloud Platform Micro 타입 서버 생성
2021. 3. 13. 18:34ㆍProjects/Web Portfolio
4월 안쪽으로 포트폴리오를 웹상에 띄워 놓기로 염두에 두고 있었는데, 메일로 구독하고 있던 노마드 코더에서
포트폴리오 챌린지(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458)를 3월 28일까지 진행한다고 해서
급히 시작하려고 서버 인스턴스 생성부터 들어갔다.
군대에서 신청한 AWS 1년 무료 체험이 끝나 있어서 다른 계정으로 만들까 아니면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해볼까 고민했는데,
일단 서버 쪽 지식이 거의 없어서.. 당장 한글 레퍼런스가 잘 설명되어 있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해보기로 결정했다.
여기도 신규 가입한 경우 10만원치 크레딧과 1년 무료 서버를 제공한다. (Micro 타입으로 생성할 경우에 한해서)
Micro 타입 서버로 선택하면 사실상 서버 생성 과정에서 선택할 항목은 거의 없다.
인증서를 다운받아 잘 보관해 두고 계속 진행한다.
수 분 내에 서버가 생성된다고 하는데, 나 같은 경우는 5분 안쪽으로 생성 알림 메일이 도착했다.
다음으로는 공인 IP 신청을 해야 한다. 공인 IP는 한 달 기준으로 4,032원씩 요금이 결제된다.
포트포워딩도 설정한다.
캡쳐는 하지 않았는데 ACG 설정도 일단 몇 개 포트에 대해서 추가로 설정했다.
필요한 설정 마무리하고 터미널로 접속한 모습..
이제 홈페이지 배포하려면 이것저것 깔고 삽질 해야할듯 🔥
- 검색하다가 전체적인 과정이 잘 설명되어 있는 블로그가 있길래 많이 참고했음
(essencedrain.tistory.com/3?category=841985)- NCP Documentation도 굉장히 설명이 자세해서 나중에 이슈가 생길 때마다 자주 들여다볼듯
(docs.ncloud.com/ko/compute/compute-3-1-v2.html)